PFAS(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과불화 화합물)는 높은 내화학성과 내열성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환경에 잔류하는 특성 때문에 국제적으로 강력한 규제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최근 유럽연합(EU), 미국(EPA), 대한민국(K-REACH) 등 주요 국가들이 PFAS 사용 제한 및 분석 방법을 강화하면서 기업들은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합니다.
본 글에서는 PFAS의 개념과 주요 규제 동향, 그리고 국제적으로 활용되는 시험 분석 방법을 소개합니다.
PFAS란? 주요 특성과 사용 산업
PFAS는 탄소-플루오린(C-F) 결합을 포함하는 합성 화학물질 그룹으로 물과 기름을 차단하는 성질이 뛰어나 방수 코팅, 식품 포장재, 소방용 폼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환경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지 않으며 인체 및 생태계에 축적될 가능성이 커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고 있습니다.
PFAS 주요 사용 산업
산업군 | 주요 활용 사례 |
반도체·전자산업 |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질, 반도체 제조 공정 |
방수·코팅재 | 기능성 섬유(고어텍스), 자동차 왁스, 방수 페인트 |
식품 포장재 | 종이컵, 피자박스, 방수·방유 코팅 필름 |
소방 장비 | 소방용 폼 소화제(AFFF) |
화장품 및 위생용품 | 방수 화장품, 치약, 샴푸 |
PFAS는 반도체 및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서도 필수 소재로 사용되고 있어 대체 기술 개발과 규제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PFAS 글로벌 규제 동향
유럽연합(EU) - REACH 규제를 통한 PFAS 사용 제한
유럽연합(EU)은 REACH 규제를 통해 PFAS 사용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2023년 2월에는 모든 PFAS 물질을 대상으로 전면 금지를 추진하는 법안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일부 PFAS 물질이 SVHC(고위험우려물질) 목록에 포함되었으며 2025년부터 특정 PFAS 사용 제품(포장재, 코팅재 등)에 대한 추가 규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미국(EPA) - TSCA 개정 및 PFAS 물질 제한 강화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TSCA(유독물질관리법) 개정을 통해 PFAS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180여 개의 PFAS 화합물을 규제 대상으로 지정하였으며, 2023년 10월부터 음용수 내 PFAS 허용 기준을 4ppt(10억분의 4) 이하로 설정하였습니다. 소방용 폼(AFFF) 및 산업용 PFAS 사용을 단계적으로 금지하는 법안도 추진 중입니다.
대한민국(K-REACH) - PFAS 사용량 보고 의무화 추진
한국 정부는 K-REACH 및 환경부 고시를 통해 PFAS 규제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PFOA·PFOS를 잔류성 오염물질로 지정하고 사용을 금지하였으며 2024년까지 PFAS 물질 사용량 보고를 의무화할 계획입니다. 식품 포장재, 방수·방유 코팅제 등 특정 산업 제품 내 PFAS 사용 제한도 검토 중입니다.
PFAS 시험 분석 방법
PFAS(과불화화합물)의 환경 및 인체 건강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밀한 시험 분석이 필요합니다. 현재 국제적으로 다양한 표준 시험법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IEC 62321 기반 PFAS 분석 방법
IEC 62321은 RoHS 및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한 국제 표준 분석법으로 PFAS 시험에도 활용됩니다.
- HPLC-MS/MS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PFAS 화합물의 농도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입니다.
- LC-MS/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 수질 및 제품 내 PFAS 검출에 적합한 시험법입니다.
- TOF-SIMS (비행시간 2차 이온질량분석법): 반도체 및 배터리 등 특수 산업에서 PFAS 분석에 사용됩니다.
국제 표준 시험법 (EPA 537, ASTM D7979)
미국 환경보호청(EPA) 및 ASTM에서도 PFAS 분석을 위한 시험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EPA 537: 식수 내 PFAS 분석을 위한 대표적인 시험법
- EPA 533: PFAS 잔류 물질 평가 시험법
- ASTM D7979: 공기 및 산업용 PFAS 검출 시험법
PFAS 규제 대응을 위한 기업 실무 전략
제품 내 PFAS 포함 여부 사전 평가
기업은 공급망을 통해 PFAS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국제 표준 분석법을 활용하여 제품 내 PFAS 함량을 분석해야 합니다.
REACH 및 TSCA 등록 및 보고 의무 준수
PFAS를 포함한 제품은 유럽 및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기 위해 REACH 및 TSCA 규정에 따라 등록 및 보고해야 합니다.
PFAS 대체 물질 검토 및 친환경 제품 개발
환경 규제 강화에 대비하여 친환경 대체 물질을 검토해야 합니다. 현재 불소-Free 코팅제, 바이오 기반 화학 물질 등이 PFAS 대체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PFAS-Free 인증 제품 개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국제표준 및 KOL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C 인증과 CE 마킹 비교: 한국과 유럽의 인증 제도 차이 및 수출 전략 (0) | 2025.02.11 |
---|---|
CE 마킹 vs. UKCA 마킹 비교: 유럽과 영국의 인증 차이 및 대응 전략 (0) | 2025.02.10 |
유럽 CE 마킹(CE Marking) 공식 가이드: 적용 대상, 인증 절차, 비용 분석 (0) | 2025.02.09 |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및 국제 기준 비교 (0) | 2025.02.08 |
REACH와 TSCA: 유럽과 미국의 화학 물질 규제 비교 (0) | 2025.02.06 |
화학 물질 시험 및 분석 기준: IEC 62321과 SVHC(고위험우려물질) 분석 (0) | 2025.02.05 |
국제 환경 규제 대응: RoHS, REACH, WEEE의 차이와 적용 방법 (0) | 2025.02.04 |
국제 인증(CE, FCC, KC, UL) 개요 및 차이점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