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표준 및 KOLAS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및 국제 기준 비교

현대 전자 제품은 다양한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과 전자기 감수성(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EMS)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기 적합성(EMC,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시험은 전자기 간섭을 최소화하고 다른 장비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수행되는 평가 절차입니다.

본 글에서는 EMC 개념과 중요성, 주요 시험 항목, 국제 기준 비교 및 각국 규제 대응 방법을 소개합니다.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및 국제 기준 비교

전자기 적합성(EMC)란?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는 전자 장비가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적 간섭(EMI)을 최소화하면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전자기 적합성은 다음 두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됩니다.

  1. 전자기 방출(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전자 제품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자기 신호(잡음, Noise)가 다른 장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입니다.
    • 예: 스마트폰이 작동할 때 인근 라디오나 TV 신호에 간섭을 주는 경우
  2. 전자기 내성(EMS, Electromagnetic Susceptibility):
    • 외부 전자기 신호(무선 신호, 정전기 방전 등)로 인해 제품이 오작동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 예: 공장 내 강한 전자기파 환경에서도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 정상 작동해야 함

전자기 간섭(EMI)과 전자기 내성(EMS)을 적절히 조정하여 전자 제품이 원활하게 동작하면서도 다른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 EMC 시험의 목적입니다.

 

EMC 시험 항목 및 주요 평가 방법

EMC 시험은 전자 제품이 방출하는 전자기파(EMI)를 평가하고 외부 전자기 환경에서의 내성(EMS)을 시험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집니다. 

시험 항목 설명 적용 표준
전도 방출(Conducted Emission) 전원이 연결된 제품에서 전도성 신호(잡음)가 전력선 또는 통신선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정도 측정 CISPR 11, CISPR 22, CISPR 32
방사 방출(Radiated Emission) 전자 제품이 공간으로 방출하는 전자기파의 강도를 측정 CISPR 16, FCC Part 15
정전기 방전(ESD, Electrostatic Discharge) 정전기 충격(예: 사람의 접촉)에도 제품이 정상 작동하는지 평가 IEC 61000-4-2
전도 내성(Conducted Immunity) 전원선 또는 신호선을 통해 유입되는 전자기 간섭에 대한 내성 테스트 IEC 61000-4-6
방사 내성(Radiated Immunity) 강한 전자기장(예: 휴대폰 신호)에 대한 제품의 내성 평가 IEC 61000-4-3
서지 내성(Surge Immunity) 낙뢰 등으로 인해 전원선에 높은 전압이 유입될 경우 제품이 정상 작동하는지 평가 IEC 61000-4-5
전압 강하 및 단락 시험(Voltage Dips & Interruptions) 순간적인 전압 변화에도 제품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 IEC 61000-4-11

 

EMC 시험은 제품 유형과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평가 항목이 적용되며 국가별 인증 규격에 맞춰 시험을 수행해야 합니다.

 

주요 국제 EMC 표준 및 국가별 인증 비교

EMC 시험은 제품이 판매되는 지역의 법적 규제와 표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주요 EMC 국제 표준 및 각국의 규제 기준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가/지역 EMC 규격 시험 요구 사항 적용 대상
국제(IEC/CISPR) IEC 61000-4, CISPR 22/32 전도 방출, 방사 방출, 정전기 방전 등 정보통신기기, 산업용 장비
유럽연합(EU) CE 마킹(EMC Directive 2014/30/EU) EMC 방출/내성 시험 필수 가전제품, IT 기기, 의료기기, 공장 자동화 장비
미국(FCC) FCC Part 15, FCC Part 18 방사 방출 및 전도 방출 시험 필수 통신기기, 소비자 전자제품, 무선 장비
대한민국(KC) KC 61326, KC 61000 EMI/EMS 시험 필요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전장 제품
중국(CCC) GB 9254, GB 17625 CE/FCC 기준과 유사한 시험 요구 정보기술(IT) 기기, 산업용 전자 제품
일본(VCCI) VCCI Class A/B EMC 방출 시험 필수 컴퓨터 및 정보기술 기기
  • 유럽(EU): CE 마킹(EMC Directive 2014/30/EU)에 따라 모든 전자기기와 가전제품은 EMC 시험을 통과해야 합니다.
  • 미국(FCC): FCC Part 15는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는 모든 전자제품에 적용됩니다.
  • 한국(KC): KC 인증을 위해 전자파적합성(EMC) 시험이 필수적이며, 산업용 제품의 경우 KC 61326 표준이 적용됩니다.
  • 일본(VCCI): 정보기술(IT) 기기는 VCCI Class A 또는 Class B에 따라 EMC 방출 시험을 받아야 합니다.

 

EMC 시험 및 국제 인증 절차

EMC 인증 절차는 제품 유형과 대상 국가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제품 사전 테스트(Pre-compliance Test)
    • 개발 단계에서 전자파 방출 수준을 평가하여 조기 문제를 식별
    • EMI 감소를 위한 설계 변경 가능
  2. 공식 EMC 시험(Full Compliance Test)
    • 인증 시험소(ISO/IEC 17025 인증 시험기관)에서 EMC 공식 테스트 수행
    • 전도 방출, 방사 방출, 정전기 방전(ESD) 등의 시험 진행
  3. 시험 성적서(Test Report) 발행 및 인증 신청
    • 공식 EMC 시험 성적서를 발급받아 인증 기관에 제출
    • CE(유럽), FCC(미국), KC(한국) 등의 국가별 인증 신청 진행
  4. 국가별 인증 마크 획득 및 제품 출하
    • 인증이 승인되면 해당 국가의 EMC 마크 부착 후 출고 가능
    • 지속적인 품질 관리 및 후속 시험 수행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