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 마킹(CE Marking)은 유럽연합(EU)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필수 인증으로 제품이 EU의 안전 및 환경 규정을 준수함을 증명합니다. 하지만 영국이 브렉시트(Brexit) 이후 EU를 탈퇴하면서 기존 CE 마킹 대신 UKCA(UK Conformity Assessed) 마킹이 도입되었습니다. UKCA 마킹은 영국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려는 기업이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인증이며 CE 마킹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일부 차이가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CE 마킹과 UKCA 마킹의 차이점, 적용 대상, 인증 절차, 기업이 준비해야 할 사항을 자세히 비교하여 설명합니다.
CE 마킹과 UKCA 마킹의 개념 및 적용 대상
CE 마킹은 유럽 경제 지역(EEA: EU 27개국 + EFTA 3개국)에서 제품이 자유롭게 유통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인증입니다. 제품이 CE 마킹을 받으려면 유럽의 안전, 환경, 보건 및 소비자 보호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CE 마킹이 부착된 제품은 유럽 전역에서 별도의 추가 인증 없이 판매가 가능합니다.
반면, UKCA 마킹은 2021년 1월 1일부터 영국(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에 적용되는 신규 인증 제도입니다. 이는 기존 CE 마킹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CE 마킹이 적용되었던 제품군과 동일한 기준을 따르지만 영국 정부가 개별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비교 항목 | CE 마킹 | UKCA 마킹 |
적용 지역 | 유럽 경제 지역(EEA) 및 일부 비EU 국가(터키 등) | 영국(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 |
도입 시기 | 기존 EU 규제에 의해 적용 |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 |
관리 기관 | 유럽연합(EU) 및 각국 정부 | 영국 정부 및 관련 규제 기관 |
적용 제품군 | 기계류, 전자기기, 의료기기, 장난감, 건축 자재 등 | 기존 CE 마킹과 유사한 제품군 적용 |
Notified Body 필요 여부 | 일부 제품군은 공인 인증 기관 평가 필수 | 기존 UK 기반 Notified Body에서 인증 진행 |
기존 CE 마킹이 적용되던 제품들은 영국 시장에서 UKCA 마킹을 취득해야 하며 영국 내에서 별도의 인증 기관(Notified Body)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기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다만, 2024년 12월 31일까지는 과도기적 조치로 일부 제품에서 CE 마킹이 영국에서도 인정되지만 2025년부터는 UKCA 마킹이 필수입니다.
CE 마킹과 UKCA 마킹의 주요 차이점 및 인증 절차
CE 마킹과 UKCA 마킹은 기본적으로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보장하는 역할을 하지만 규제 기관 및 인증 절차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1. 인증 절차 및 적합성 평가
CE 마킹은 제품이 EU 규정을 준수하는지 평가하는 인증 절차로, 제품군에 따라 자기 적합성(Self-Certification), 공인 시험소 테스트, 제3자 인증(Notified Body) 평가 등의 과정을 거칩니다. 반면, UKCA 마킹은 영국 내 독립적인 평가 체계를 구축하여 관리하며, 일부 제품군은 반드시 영국에 등록된 인증 기관에서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절차 비교 | CE 마킹 | UKCA 마킹 |
적합성 평가 (Conformity Assessment) |
제품에 따라 Self-Certification 가능 | Self-Certification 가능하지만 일부 제품군은 영국 인증 필요 |
Notified Body 인증 필요 여부 | 특정 제품군(의료기기, 방폭기기 등) 필수 | 영국 내 등록된 Notified Body에서 인증 필요 |
기술 문서 작성 | 유럽 CE 기준 문서 준비 | 동일한 문서를 UK 규정에 맞게 수정 |
2. 시험 기관 및 인증 기관(Notified Body) 차이
CE 마킹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EU 내 공인 시험 기관(ISO/IEC 17025 인증 기관)에서 제품 테스트를 거쳐야 하며 일부 제품군은 Notified Body의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UKCA 마킹을 받기 위해서는 영국에 등록된 인증 기관에서 평가를 받아야 하며 기존 CE 마킹을 발급했던 EU 기반 인증 기관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CE 마킹을 위해 독일 TÜV Rheinland 또는 프랑스 Bureau Veritas에서 인증을 받았다면, UKCA 마킹을 위해서는 영국 내 인증 기관에서 별도의 인증을 다시 받아야 합니다.
3. 제품 라벨링(마킹) 및 적합성 선언서(DoC) 차이
CE 마킹을 부착한 제품은 제품 본체 또는 포장에 CE 로고를 표시해야 하며 적합성 선언서(DoC, Declaration of Conformity)를 작성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UKCA 마킹 또한 제품 본체 및 포장에 UKCA 로고를 표시해야 하며 별도의 적합성 선언서를 영국 기준에 맞게 작성해야 합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영국 시장에서 CE 마킹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기업들은 UKCA 로고를 추가해야 합니다.
CE 마킹과 UKCA 마킹 대응 전략: 기업이 준비해야 할 사항
1. 영국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려는 기업은 2025년부터 UKCA 마킹을 반드시 취득해야 하며, 영국 내 인증 기관과 협력하여 인증 절차를 준비해야 합니다.
2. 기존 CE 마킹을 사용하던 기업이라면, 제품 설계 및 적합성 선언서(DoC)를 검토하고 UKCA 기준에 맞게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3. 영국 내 Notified Body를 활용해야 하는 제품군(의료기기, 방폭기기 등)의 경우, 기존 CE 인증 기관이 아닌 UK에서 인정하는 인증 기관을 찾아야 합니다.
4. 제품 패키징 및 라벨링을 변경하여 UKCA 마크를 추가하고, 영국 규제 당국이 요구하는 문서를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유럽과 영국을 동시에 겨냥하는 기업들은 CE 마킹과 UKCA 마킹을 병행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CE 마킹 공식 가이드 – EU 웹사이트
UKCA 마킹 공식 가이드 – 영국 정부 웹사이트
'국제표준 및 KOL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CA 프리마켓 신고: 미국 화학물질 등록 및 규제 대응 방법 (0) | 2025.02.14 |
---|---|
CPSC(미국 소비자 제품 안전위원회) 규제: 제품 안전 인증 절차 (0) | 2025.02.13 |
RAPEX(유럽 제품 안전 경보 시스템)란? 제품 리콜과 규제 대응 방법 (0) | 2025.02.12 |
KC 인증과 CE 마킹 비교: 한국과 유럽의 인증 제도 차이 및 수출 전략 (0) | 2025.02.11 |
유럽 CE 마킹(CE Marking) 공식 가이드: 적용 대상, 인증 절차, 비용 분석 (0) | 2025.02.09 |
전자기 적합성(EMC) 시험 및 국제 기준 비교 (0) | 2025.02.08 |
PFAS(과불화 화합물) 규제 동향 및 분석 방법 (0) | 2025.02.07 |
REACH와 TSCA: 유럽과 미국의 화학 물질 규제 비교 (0) | 2025.02.06 |